PC나 서버나 메모리는 무척 중요합니다. 어떤 경우에는 CPU 보다 메모리가 더 중요합니다. 이러면 그럼 CPU는 20년전것 써도 되냐라고 물어 보시는 분들이 있다면 그 시대에 맞는 CPU를 말하는것입니다. 예를 들면 현재 가장 많이 판매가 되고 있는 CPU 모델의 가격대가 있습니다. 그런것을 기준으로 말하는 것입니다.
● 메모리 용량의 결정
전 PC나 서버나 메모리는 현재 많이 판매되고 있는것의 2배를 말합니다.
하지만 서버의 경우 용도에 따라 무척 달라질 수 있습니다. 쿼리 캐쉬가 많이 사용되는 DB서버의 경우는 기타 특수목적 등의 용도로 따라 많이 달라질 수 있습니다. 이 부분에 대해선 직접 결정을 해야 되는데요. DB서버의 경우 직접 서버 구매를 하는 경우라면 현재는 최소32G 또는 64G를 권장 합니다. - 2022년 기준.
웹서버의 경우 직접서버를 구매하는 경우라면 최소16G, 32G를 권장합니다.
파일서버의 경우 많으면 좋기 때문에 DB서버 정도의 메모리를 권장 합니다.
여기서 AWS 같은 클라우드에 대한 부분은 다른 측면이 있으므로 위 사항과는 좀 다릅니다. 이쪽은 메모리가 크면 CPU 사양이 좀 떨어지던데요. 자신의 상황에 맞게 잘 선택해야 될듯 싶습니다.
● 운영중 메모리가 부족하면
리눅스에는 스왑파일을 설정하여 사용하는 방법이 있습니다. 처음 시스템 설치할대 별도의 스왑파티션을 설정하여 설치가 되었으면 좋지만 그렇지 않은 경우는 스왑파일을 만들어 사용하면 됩니다. 단 파일이기 때문에 파티션과 달리 건드릴 수 있으므로 디렉토리명을 대문자로 한다든가 하는 방식으로 사용하면 됩니다.
기존에 스왑파티션이 있어도 스왑파일을 추가 하면 전체 스왑메모리의 용량은 늘어난 상태로 사용이 가능합니다.
'개발관련' 카테고리의 다른 글
AWS 라이트세일 서버리스 MySQL8 환경설정 정보 (0) | 2022.07.23 |
---|---|
절전모드 일 때 컴퓨터가 자동으로 켜지는 현상 (0) | 2022.07.16 |
무료 검색엔진 솔라(apache solr) (0) | 2022.07.02 |
PHP PDF 라이브러리 FPDF+FPDI2 소스 샘플 (0) | 2022.06.18 |
summernote Uncaught TypeError: n.attr(...).tooltip is not a function (0) | 2022.06.06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