모두 1개씩 생성한 다음 값을 저장한 것입니다.
아무래도 전문적으로 셋팅하지 않았을까 하여 값을 확인한 다음 필요한 부분이 있으면 적용하려 하는데요. 서버의 사용은 각 서비스마다 모두 다르기 때문에 자신의 사이트 환경에 맞게 하는것이 제일 정확하긴 합니다. 그럴려면 그에 따른 정보를 많이 알고 있어야 하는데 간단한 문제는 아닐 수 있습니다.
위 파일은 각각 CPU은 모두 동일한 2CPU 입니다.(이것 밖에 선택 할 수 있는것이 없음)
그리고 램은 상위 상품은 커지고 디스크 용량도 커집니다. 그리고 전송 가능한 트래픽도 많아 집니다.
(한계를 초과 하면 느려 진다고 합니다.)
파일은 어느곳에서나 열 수 있도록 json 파일로 만들었습니다. 웹사이트에 보면 json 스트링 넣어면 보기 좋게 보여주는 그런 사이트 있는데 활용해 보시면 됩니다.
리눅스의 경우 cat 파일명 | jq 하시면 가독성 있게 볼 수 있습니다.
관련하여 사용한 프로그램은 아래를 보시면 됩니다.
AWS 라이트세일 서버리스 DBMS - MySQL8 > AWS.클라우드 (pabburi.co.kr)
'개발관련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윈도우 터미널 빠져 나오는 단축키 (0) | 2022.08.06 |
---|---|
자동입력 방지 구글 리캡차는 제한량은 얼마나 될까? (0) | 2022.07.30 |
절전모드 일 때 컴퓨터가 자동으로 켜지는 현상 (0) | 2022.07.16 |
무료 검색엔진 솔라(apache solr) (0) | 2022.07.02 |
PHP PDF 라이브러리 FPDF+FPDI2 소스 샘플 (0) | 2022.06.18 |